Hash In Swift
Direct-Address-Table
Key값으로 k를 갖는 원소는 index k에 저장하는 방식의 테이블이다.(array 사용)
하지만 이렇게되면, 크게 두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1. 불필요한 공간 낭비
- Ex) key가 만약 2000번대 부터 시작한다면 0~1999의 인덱스의 공간은 낭비하게 된다.
2. key가 다양한 자료형 지원 x
- Ex) key값이 만약 String이라면, index에 어떤 기준으로 저장해야할지 방법이 전무 -> key값이 String이면 저장을 할수 없게 됨.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한 버전(?)이 바로 Hash Table 개념이다.
Hash Definition
해쉬테이블을 제대로 설명하기전, 해싱,해쉬, 해쉬 함수 등의 용어정리를 먼저 정리해보자.
- Hash
“해시(hash)”는 일반적으로 무언가를 잘게 쪼갠 후에 결과물을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 Ex) 해쉬 브라운, 해쉬 태그
- Hash Function
위의 해쉬 개념을 컴퓨터 과학에 적용시켜 해쉬 함수를 다음과 같이 서술합니다.
임의의 길이를 가진 데이터를 입력받아 고정된 길이의 값, 즉 해시값을 출력하는 함수 해시 함수를 사용하면 입력값에 대해 항상 동일한 규칙에 따라 고정된 길이의 해시값을 생성
- Hash Value
해시 값(해시 또는 체크섬이라고도 함)은 특정 길이의 문자열 값으로, 해싱 함수의 계산 결과
- Hashing
매핑 전 원래 데이터의 값을 키(key), 매핑 후 데이터의 값을 해시값(hash value), 매핑하는 과정 자체를 해싱(hashing)
Hash Table
앞서 말한, Direct-Address-Table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ash Table은 hash function ‘h’ 를 사용하여 (key: value)를 인덱스 h(k) 에 저장한다.
** **주로 키 k값을 갖는 원소가 위치 h(k)에 해쉬된다.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리고 여기서 전제조건은 key가 무조건 존재해야 하며 중복되서도 안된다
slot, bucket: hash table을 구성하는 (key:value)를 저장하는 각각의 공간을 칭함.
좀 더 구체적으로, Hash Table을 사용해 Direct-Address-Table의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까?
-
공간 낭비 문제 방금과 같이 2000의 값을 가지는 key가 있다고 가정하면, 해쉬 테이블은 Hash Function을 활용해 키값을 넣어 해쉬값을 만들어 내고 그값을 인덱스로 사용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예를들어, k modular 9 이라는 식의 해쉬 함수가 있다면 2000을 9로 나눈 나머지니깐 2가 나온다. 그럼 index0 ~ 2000이 아닌 index 0 ~ 2만 써도 되니 불필요한 공간 논리 상, 1998을 아낄 수 가 있다. (원리가 이렇다는 것)
-
Key 자료형 지원 문제 문제예시와 같이 key값이 String이 오게 된다면, 마찬가지로 해쉬 함수를 통해 이 스트링 값을 hash value로 치환해준다.(나름의 알고리즘 존재) 그리고는 그 값을 인덱싱하는데 쓸 수 있게 되는 것 이다.
그러면 Hash Table은 마냥 해피해피한 자료구조일까?
그렇지 않다. Hash Table도 여러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문제점은 Colision 문제이다.
Colision
서로 다른 Key의 해쉬값이 값을 때를 칭함. ( 중복되는 key는 없지만 hash value는 중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colision이 최대한 적게 나도록 해쉬 함수를 잘 설계해야하고, 발생하는 경우는 chaning 또는 open addressing등의 방법을 고려한다. (이외에도 많음)
Colision을 해결하는 방법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이 섹터에서 소개할건 open addressing방식과 chaning 방식이다.
- Open Addressing
Collision이 발생하면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 hash table의 비어있는 slot을 찾는다. (추가적인 메모리 사용 x)
slot을 찾는 방식에 따라 Linear Probing, Quadratic Probing, Double Hashing 등이 있음
1. Linear Probing(선형 조사법) & Quadratic Probing(이차 조사법)
colision발생시, 발생한 해시값으로 부터 일정한 값만큼 뛰어 넘어, 비어있는 slot에 데이터를 저장
Linear(+1,2,3) Quadratic (1^2, 2^2,3^2)
colision이 많아지면 특정 영역에 데이터가 몰리는 클러스터링이 발생 할수도 있음. 클러스터링이 발생하면
평균 탐색 시간이 증가
2. Double Hasing(이중 해싱)
앞서말한 클러스터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2개의 해쉬 함수를 사용함
첫번째 해쉬함수: 최초의 해쉬값을 얻을때
두번째 해쉬함수: colision발생 시, 탐사 이동폭을 얻기 위해
- Separate Chaning
Linked List 또는 Tree를 사용한다. Collision 발생 시, Linked List에 노드(slot)을 추가하여 데이터를 저장
(Worst case로 N개의 모든 key가 동일한 해쉬값을 가지는 경우 n개의 길이를 가진 Linked List가 만들어짐
-> 검색 및 삭제 O(n) (기본은 O(1)))
Swift Hashable Protocol
Hashable 프로토콜은 해싱에 사용할 수 있는 해시 값을 생성하는 기능을 정의한다. 또한 여기서 해시 값은 고정 길이의 값을 가지며, 주로 컬렉션에서 빠른 검색을 위해 사용된다. Hashable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타입은
` func hash(into hasher: inout Hasher)`
함수를 구현해야 한다.
(Swift의 기본 타입은 기본적으로 Hasable하다.)
- Hasher(?)
주석을 읽어보니 hashValue가 deprecated 되고 hash함수가 그 자리를 메운거 같음
Hasher는 Set과 Dictionary에서 사용되는 범용 해시 객체
Hasher를 사용하여 임의의 바이트 시퀀스를 정수 해시 값으로 매핑할 수 있다고 함.
또한 combine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해시에 추가할 수 있으며, 해시 작업을 완료한 후 finalize()를 호출하여 해시 값을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warning: Hasher의 구현 알고리즘이 라이브러리의 버전 간에 변경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 실행 간에 해시 값을 저장하거나 재사용하지 말것.
한번 Hashable프로토콜로 커스텀 Key값을 만들어 보자.
struct MyMacBook: Hashable {
var name: String
var price: Int
func hash(into hasher: inout Hasher) {
hasher.combine(name) // 데이터 추가
hasher.combine(price) // 데이터 추가
print(hasher.finalize()) // ex) -7858459044973498536
}
}
let M1 = MyMacBook(name: "M1", price: 100)
let M2 = MyMacBook(name: "M2", price: 200)
// 구조체를 키값으로~
let macBookDict: [MyMacBook: String] = [M1: "M1 구입했구나", M2: "M2 구입했구나"]
let BuyM1 = macBookDict[MyMacBook(name: "M1", price: 100)] // -> "M1 구입했구나"
추가로 Hasable, Equatable 프로토콜을 채택해주면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hash(into:) 함수를 구현해준다. 혹은 위 예제처럼 직접 함수를 구현해줄 수 있다.
Swift 4.1 이전까지는 자동으로 구현되지 않아 반드시 사용자가 hash(into:) 함수와 == 연산자를 구현해주어야 했다고 함
재밌는건 이 부분이 Set의 Contain함수가 O(1)인 이유를 설명해 준다는 것이다.
Set의 구현체를 보면
@frozen
@_eagerMove
public struct Set<Element: Hashable> {
@usableFromInline
internal var _variant: _Variant
이처럼 원소를 hashable 타입으로 받고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Set은 일반적으로 키와 값이 동일한 해시맵으로 구현되거나 한다.(아닌 경우가 있을수 있지만)
결국 이런 각 고유한 해쉬 값을 통해 값의 조회가 가능하니 O(1)로 조회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같은 이유로 Set에 어떤 커스텀 타입을 넣고 싶다면 해당 타입은 꼭 Hashable을 준수해야 한다.
Swift는 어떻게 Colision을 처리할까?
더 나아가 이런 궁금증도 생길 수 있다., Swift의 colision이 발생하면 어떤 방식을 사용할까?
Swift는 기본적으로 Cahning을 사용하고, 해시 충돌이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경우, Linear Probing또는 Double hashing을 고려한다고 한다.
더불어, 해쉬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충돌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SipHash라는 방법을 사용한다고 한다.
SipHash & Seed
Swift뿐만 아니라 Radis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해쉬 알고리즘이다.
임의의 값인 Seed를 활용해 동일한 입력 데이터에 대해 다른 해쉬 값이 생성되도록 하여 해쉬값을 분산시키고 충돌 저항성을 높힌다.
let value = "hello, world"
let seed = arc4random()
// SipHash를 사용하여 hash값을 생성
let hash = value.hash(into: &seed)
// hash값 출력
print(hash)
+) Ref:
https://jeong9216.tistory.com/523
https://ratsgo.github.io/data%20structure&algorithm/2017/10/25/hash/